[깃초] 2부 - 깃 vs 깃허브
by codeEater깃과 깃허브, 무엇이 다를까?
많은 개발자들이 깃(Git)과 깃허브(GitHub)를 혼동하곤 합니다. 이해를 돕기 위해 현실적인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. 깃은 우리가 문서를 작성할 때 사용하는 Microsoft Word와 같고, 깃허브는 이 문서를 저장하고 공유하는 Google Drive와 같습니다. 또 다른 예시로, 깃은 사진을 촬영하고 편집하는 카메라라면, 깃허브는 이 사진들을 저장하고 공유하는 Instagram이라고 볼 수 있죠.
깃허브(GitHub)란?
깃허브는 깃을 사용하는 프로젝트를 온라인상에서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호스팅 서비스입니다. 2008년 출시 이후 개발자들의 필수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으며, 2018년에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인수하면서 더욱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었습니다.
깃허브의 핵심 기능
- 저장소(Repository) 호스팅
- 공개/비공개 저장소 생성 가능
- 무제한 저장소 생성 지원
- 대용량 파일 저장 및 관리
- 협업 도구
- 이슈(Issue) 트래킹: 버그 리포트, 기능 요청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
- 풀 리퀘스트(Pull Request): 코드 변경사항을 검토하고 병합하는 과정을 관리
- 코드 리뷰: 변경사항에 대한 상세한 피드백 제공 가능
- 프로젝트 관리: 칸반 보드 스타일의 프로젝트 진행 현황 관리
- 추가 기능
- GitHub Pages: 정적 웹사이트 호스팅
- GitHub Actions: CI/CD 파이프라인 구축
- GitHub Codespaces: 클라우드 기반 개발 환경
- GitHub Copilot: AI 기반 코드 자동완성
깃허브로 할 수 있는 것들
- 코드 저장 및 백업
git push origin main # 로컬의 변경사항을 깃허브에 업로드
- 프로젝트 협업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사용자명/저장소명.git # 프로젝트 복제 git pull origin main # 최신 변경사항 가져오기
- 오픈소스 참여
- 다른 프로젝트에 기여하기
- 이슈 등록 및 해결
- 풀 리퀘스트 제출
깃 호스팅 서비스
깃을 활용하는 호스팅 서비스로는 GitLab, Azure DevOps, Bitbucket 등이 있습니다. 각 서비스는 저마다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, 기본적으로 깃허브와 유사한 기능을 제공합니다.
다음 단계로 나아가기
다음 글에서는 실제 개발 과정에서 자주 사용하는 깃 명령어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
이를 통해 깃허브를 더욱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.
'코딩 > 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깃초] 5부 - 깃 협업시 주로 발생하는 문제 (3) | 2025.03.06 |
---|---|
[깃초] 4부 - 깃 플로우 전략이란? (2) | 2025.02.20 |
[깃초] 3부 - 깃 명령어 알아보기 (2) | 2025.02.18 |
[깃초] 1부 - 깃의 시작 (0) | 2025.02.18 |
블로그의 정보
코드먹방
codeEater